낙서장

20~30대 전문직 귀향바람

도일 남건욱 2010. 4. 16. 12:36

20~30대 전문직 귀향바람 
 
지방도시의 의과대학을 졸업한 박상천(34)씨는 경기 일산의 종합병원에서 일하다 지난해 고향인 경북 상주에서 이비인후과 병원을 열었다. 대도시에 비해 인구는 적지만 땅값, 물가 등이 훨씬 싼 데다 비슷한 전문직간의 경쟁이 덜해 한결 여유롭다. 박씨는 4일 큰돈으로 빚을 내 서울에서 개원한 선배들이 모두 부러워한다고 말한다. 학업이나 취업 등을 이유로 고향을 떠나 대도시에서 생활하던 20~30대 전문직 종사자들 사이에 ‘귀향바람’이 불고 있다.
 
도시 생활에 염증이 나 전원풍의 농촌에서 살고싶어하는 ‘귀농족’과 달리 고향으로 돌아가는 이른바 ‘귀향족’들이다. 서울이나 수도권에서 대학을 졸업한 뒤 곧바로 고향에 정착하기도 하고, 중소도시의 대학을 졸업한 뒤 서울에서 생활하다 ‘참살이(웰빙)’에 눈뜨면서 고향으로 돌아가는 신세대들이 대부분이다.

 

이들은 고향에서 자신의 전문성을 살려 삶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데 만족하고 있다. 고향 인근 지역들이 도심지로 개발되는 곳이 많아지면서 생활 및 교육 인프라 시설이 잘 갖춰져 있어 자녀들의 교육문제도 한시름 놓는다고 한다. 수도권 포화와 부동산 가격 상승, 경기불황 등도 이들의 유턴을 부추긴다.

서울의 작은 건축사 사무실에 다니던 박흥수(30)씨는 올해 초 상경한 지 3년 만에 고향인 전남 순천으로 귀향했다. 순천시내 고건축 관련 사무실에 취직한 박씨는 “예전과 달리 수도권에 정착해야 성공할 수 있다는 강박관념이 사라져 중·고교 친구들 중 절반 가까이가 고향 근처에서 일하고 있다.”고 흐뭇해했다.

 

서울에서 투자증권회사 과장으로 근무했던 배인호(37)씨도 사정이 비슷하다. 지난 3월 고향인 강릉지점으로 발령 신청을 냈다. 배씨는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서울지점에서 일하다가 지방을 택하는 것은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었지만 최근 들어서는 오히려 고향이나 고향 근처로 내려가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 관계자는 “지난 3년간 유입인구가 크게 늘어난 충남 아산, 경남 거제, 전남 목포, 전북 군산 등의 사례를 보면 유입인구 가운데 젊은 전문직 귀향인구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전했다.

 

한상진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는 “고도 경쟁사회의 부작용이 부각되자 경제적 보상보다 인간적 대우를 받는 삶이 중요해지면서 이 같은 문화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고 말했다. 한 교수는 “이런 변화는 보통 전문직 종사자들로부터 시작된다.”고 분석했다. 이민원 전 국가균형발전위원장은 “정부가 획기적 감세나 인프라 구축·제공 등을 통해 젊은층의 지방도시 유입을 촉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건형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