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벨트 ‘나눠먹기 주장’ 어처구니 없다
최근 정부와 정치권 일각에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분산배치'가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경북도와 대구시, 울산시 등이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이들 3개 시도 공동유치위원장인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7일 "특별법에 따라 입지를 선정하도록 돼 있는 과학벨트위원회가 정상적인 활동도 하기 전에 삼각벨트 발표가 나오는 것은 도저히 있을 수 없는 말도 안되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김 지사는 "그동안 일부지역의 터무니없는 정치논리와 지역안배 주장에 대해 일일이 대응하지 않고 정부의 객관적 입장만을 믿고 조용히 유치논리 개발에 집중해 왔는데 이러한 지역의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벌어졌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지사는 특히 "포항과 경주를 중심으로 한 경북 동해안의 세계적인 기초과학 연구기관과 첨단연구 인프라, 산업기반, 정주여건 등 법에 따라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입지선정기준은 온데 간데 없고 정치적 나눠 먹기식의 일부 정치권의 행태를 반영한 분산 시각은 도저히 용납할 수도 없고 그 저의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경북도는 그동안 원전과 방폐장 등 타 지역이 입지를 꺼리는 국가전체의 짐을 져온 국책사업의 대표적 희생지역이었다"며 "만약 과학벨트의 지역 유치가 무산될 경우에는 동해안에 집적된 원전과 방폐장도 모두 가져가야할 것"이라고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앞으로 대구, 울산과 과학벨트 유치공조 체제를 더욱 공고히 하고, 과학계의 의견을 수렴해 국제과학벨트 유치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우선 9일 교과부를 방문, 분산배치논의에 대한 경북도의 입장과 학계, 과학기술계, 경제계 등의 의견과 지역 민심을 전달할 계획이다.
오는 14일 경주에서 3개 시·도지사와 상공회의소 회장이 참여하는 간담회를 열어 유치결의문을 채택하고, 26일에는 울산시 주최의 국제과학벨트 유치포럼도 갖는다.
이밖에 포항과 경주 등 동해안권 지자체와 학계, 경제계, 과학기술계 및 지역주민들과 함께 이번 분산배치 논의에 대한 대책회의를 갖고 주민결의대회, 성명서 발표, 교과부장관 항의 방문, 국회방문 대책수립 등 강경한 대책을 펴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