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서장

약국외 판매 논의, "기본 잊었다"

도일 남건욱 2011. 6. 30. 16:50

 

슈퍼판매 논의 전반에 걸쳐 비판적인 시선으로 다룬 보고서가 발표됐다.

연구공동체 '건강과 대안'은 29일 의약품 슈퍼판매 논란에 대한 이슈페이퍼를 발간했다. 이는 각종 이해관계와 주장, 오해가 얽혀 복잡한 양상을 띠는 약국 외 판매 문제를 정리하고 근본적 문제와 대안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건강과 대안'은 의사와 약사 등 보건의료계 종사자들이 함께 모여 국민 건강권에 대해 고민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연구공동체로 일반의약품 슈퍼판매의 논란에 대해 "편의성만으로 결정될 수 있는 성격의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의약품은 안전하지 않다"는 근간에서부터 현안을 둘러싼 다양한 논의들에 이르기까지 하나하나를 되짚고 풀어냈다.

이들은 보고서에서 안전성과 편의성에서 시작된 논의가 현 정권의 시장우선주의와 극도의 상품화 정책 아래 대통령의 '지시와 진노'에 좌우되며 진정한 국민의 요구와 필요가 아닌 '밥그릇 싸움', '종편 먹여 살리기', '미국 따라하기'식으로 왜곡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현 상황을 크게 △종합편성채널 사업자를 중심으로 한 언론과 방송통신위원회의 요구 △광고 시장의 활성화를 통한 내수경기의 회복과 산업적 규모를 키우려는 기획재정부를 위시한 기업들의 바램 △건강보험 지출을 줄이려는 보건복지부의 의도 △약사회와 의사회의 이권 이상 4가지로 나눠 살피고 다양한 이해관계와 오해, 오인이 한데 얽혀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혼재된 현안에 대한 대안으로 이들은 '공공보건의료체계의 강화'를 제시했다. 이어 △시간외 진료센터 설치를 통한 의료공백의 해결 △전문성이 뒷받침된 민주적 논의를 통한 문제해결 △의약품 및 의료기관 광고에 대한 적절한 규제 등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그렇다면 이런 대안은 어떻게 도출된 것일까. 이들은 먼저 기재부나 방통위, 대통령이 끼어들 자리는 없다고 시사하고 "'약은 독'이란 말처럼 안전성을 배제한 채 편의성만을 정책결정의 근거로 삼을 수 없다"고 못 박았다.

더불어 "미국은 전 세계에서 의약품 규제가 가장 약한 나라로 보건의료제도의 결함과 지리적 특성에 의해 어쩔 수 없이 슈퍼판매를 한다"며 "그로인해 발생하는 부작용과 문제점이 수없이 보고되고 있다"고 해외 사례를 들어 현 상황을 비판했다.

한편 "44개 품목 모두 안전한가"라 의문을 던지며 '카페인'에 대한 오남용과 부작용, 자가치료의 잘못된 인식과 이를 유도하는 광고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건강과 대안은 의약품재분류에 대해서도 "11년 전 의약분업 당시 분류된 의약품은 시대에 맞게 재분류돼야 타당하지만 안전성에 따라 하나하나 충분히 논의를 거쳐 진행돼야 한다"며 "전문성을 토대로 시민사회단체와 노동자단체 등이 직접 참여해 논의하고 토론하는 중앙약사심의위원회로의 개편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