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일 남건욱 2011. 11. 9. 19:28

하버드대학교 인생성장보고서의 필자인
조지 베일런트 교수가 두번째 책을 펴냈습니다.
책 제목도 '행복의 완성'이군요.
책 가운데서 희망에 대한 부분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우선 나는 무엇이 희망이 아닌지를 규정해야 한다.
희망은 소원wish과 구별되어야 한다.
소원은 말이고 좌뇌를 반영한다.
반면에 희망은 심상으로 이루어지고 우뇌에 기초한다.
별에게 소원을 비는 것은 아무 노력이 들지 않는다.
그러나 희망은 종종 엄청난 노력을 요구하고,
실제적인 삶에 반영된다.
희망은 현실적이고 긍정적인 미래를 상상하는 우리의 능력을 반영한다.

희망은 감정적이고, 활력을 주고 힘을 준다.


2. 그렇다면 소원은 어떨까?
얼핏 보기에 희망과 소원은 비슷하다.
하지만 소원은 수동적이고, 인지적이고, 잠재적으로 힘을 약화시킨다.


3. 기도의 치유력은 종종 희망과 소원의 차이에 따라 결정된다.
만일 내가 은밀히 신에게 당신이 암에서 회복되기를 또는
내가 복권에 당첨되기를 기원한다면,
네잎클로버에게 비는 소원과 다르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만일 당신이 나의 기도를 당신에 대한 사랑으로
느끼고 내 힘과 희망을 당신과 공유하려는 진지한 노력을 받아들인다면,
당신의 암세포는 죽지 않을지라도 당신의 고통은 줄어들 것이다.


4. AA협회의 후원자는 후원을 받는 중독자에게 이렇게 말한다.
"내가 드릴 수 있는 것은 오직 나의 경험과 힘과 희망입니다."
중독자는 희망을 느낀다.
또한 희망은 신뢰니 맏음과도 다르다.
신뢰의 반대는 불신이지만, 희망의 반대는 절망이다.


5. 희망은 두려움과 좌절 앞에서 기능을 효과적으로 유지해야 하는
포유동물의 비자발적 필요에서 생겨난다.
감정을 위로하는 이 원천을 우리는 '희망'이라 부른다.
희망은 내일이 오면 나아질 거라고 믿게 한다.

'절망한다'despair라는 동사는 희망이 없다는 뜻의 라틴어
'disperare'에서 유래했다.
절망이 감정인 것처럼, 희망도 감정적이다.
진지한 희망은 인지에 뿌리를 내리고 있을 뿐 아니라
가슴과 노래에도 뿌리를 내리고 있다.


6. 인간의 대상으로 한 하버드대 졸업생을 상대로 한
성인발달 연구에서도 죽음을 늦추는 희망의 힘을 확인했다.
특권과 부모의 교육 수준에 관계없이 불우한 환경에서도 미래를 위해
노력할 가치가 있다고 확신하며 성장한 아이들(희망을 가진 사람들)은
더 오래 건강하게 살았다.
그것은 희망이 만들어 낸 차이였다.


7. 희망은 인지적이지 않고, 이성적이지 않고, 진부하지 않다.
희망은 포유동물적 유산인 감정의 일부다.



8. 예술가, 아동정신과 의사, 성인발달 연구자인 에릭 에릭슨은
인생 초기에 희망의 가치는 "가장 시급하며 가장 필수불가결하다"고 표현했다.
에릭슨에게 희망은 인간 발달의 가장 기초적인 토대였다.
흼방은 에릭슨이 '기본적 신뢰'라 명명했고,
내가 믿음이라 부르는 것을 뒷받침하는 기본 동력이다.


9. 뿐만 아니라 희망은 에릭슨의 8가지 발달단계의 대부분에 필수적인
것으로 보인다. 희망은 주도성을 완성하는 데 필수적이고,
청소년기에는 성실성을 지지하고,
성년기에 친밀성을 촉진한다.
희망은 다음 세대를 향한 개인의 신뢰를 재확인하여
성숙한 생산성이 꽃피울 수 있는 의미를 부여한다.
마지막으로 희망은, 에릭슨이 마지막 단계인 '통합'이라
부른 것을 뒷받침하여, 우리에게 또는 우리의 평화로운 죽음을
허락하는 생존자들에게 미래를 약속한다.
희망은 영원히 샘솟는다.
-출처: 조지 베일런트, (행복의 완성), 흐름출판, pp.67-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