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서장

[스크랩] 신울진원자력발전소

도일 남건욱 2012. 5. 6. 15:51

 

 

 

 

 

 

 

 

 

 

 

[신울진원전 1,2호기 건설사업 현황]

 

1. 사업 개요

□ 위치 : 경북 울진군 북면 덕천리 및 고목리 일원
□ 형식 : 가압경수로형(APR1400)
□ 용량 : 140만 KW급 × 2기
□ 공사기간
○ 1호기 : 2010. 4.30 ~ 2017. 4.30(84개월)
○ 2호기 : 2010. 4.30 ~ 2018. 4.30(96개월)

□ 총 공사비 : 6조 2,981억원
○ 내 자 : 5조 5,009억원
○ 외 자 : 7,972억원 (724,746US$)

□ 공정률(‘12.3월말 기준)
○ 계획/실적(공정률) : 28.36%/28.98%(102.17%)

 

 

 

2. 사업추진 경위

■ 2002. 5. 4 : 전원개발 예정구역 지정고시(산업자원부)
■ 2005. 6. 8 : 건설기본계획 확정
■ 2009. 4. 3 : 실시계획승인 취득(지식경제부)
■ 2009. 4.16 : 국산화추진 ‘원자로냉각재펌프, 원전계측제어시스템’ 사업적용 결정
■ 2009. 7.31 : 주계약(설계, 주기기 등) 체결
■ 2010. 3.22 : 주설비공사계약 체결
■ 2010. 4.30 : 부지정지 착수
■ 2011.12. 2 : 건설허가 취득(대 교육과학기술부)
■ 2011.12. 3 : 본관 기초굴착
□ 2012. 9. 1 : 최초 콘크리트 타설
□ 2014. 6. 1 : 1호기 원자로설치
□ 2016.10. 1 : 1호기 연료장전
□ 2017. 4.30 : 신울진1호기 준공
□ 2018. 4.30 : 신울진2호기 준공

 

 

 

3. 기대 효과

□ 지역지원금 및 지방세 납부 : 약 1조8천625억원

구 분

내 용

금 액

비 고

지역지원금

기본지원사업비

3,740억원

건설~운영기간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

특별지원비

1,245억원

사업자지원사업비

3,740억원

소 계

8천725억원

지방세 납부

지역자원시설세

6,600억원

준공~운영기간

취득세/등록세

300억원

기타지방세

3,000억원

소 계

9천900억원

합 계

약 1조8천625억원

 

□ 발전소 건설기간 및 운영기간 중 지역경제 활성화 촉진
○ 연인원 약 620만명 고용창출 효과(지역주민 인력고용 기회 확대)
○ 지역업체 건설 참여우대로 경기 활성화 기여
○ 한수원, 시공사, 협력업체 등 인구유입에 따른 시장경제 활성화 기대

 

 

 

4. 후쿠시마 후속조치사항(33건)

□ 설계개념에 기반영되어 설계가 진행중인 사항(6건) : 조치완료
○ 안전정지 유지계통 내진성능 개선
○ 예비변압기 앵커볼트 체결
○ 피동형 수소제거설비 설치
○ 격납건물 배기 또는 감압설비 설치(감압설비 설치예정)
○ 비상 대응시설 개선
○ 비상경보시설의 성능강화

□ 설계변경 필요사항(12건) : 운영허가 전까지 조치 예정
○ 지진에 의한 구조물 안전성 : 지진 자동정지설비 설치 등 2건
○ 해일에 의한 구조물 안전성 : 방수문 및 방수형 배수펌프 설치 등 2건
○ 침수발생시 전력․냉각계통 건전성 : 이동형 발전차량 확보 등 6건
○ 중대사고 대응 : 비상냉각수 외부주입유로 설치 1건
○ 비상대응 및 비상진료 체계 : 장기 전원상실시 필수정보 확보방안 1건

□ 기타(15건) : 가동원전 조치결과 참조, 운영허가 전 조치 예정
○ 조치를 위해 용역 수행이 필요한 사항(2건)
○ 지침 및 절차서 개정 등 발전소 운영관련사항(13건)

 

 

 

 

 

 

 

 

 

출처 : 도시디자인
글쓴이 : UrbanDesign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