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기가랜 구성, 케이블, 짹등...펌
안녕하세요?
우선 저는 컴퓨터 엔지니어 입니다.
대부분의 유저님들이 기가랜을 사용할시 잘못된 지식을 답변으로 달아주는 분들 때문에 많은 오류를 범하고 있습니다.
기가랜을 정확하게 사용하려면 완벽한 기가랜 환경을 구현해야 합니다.
윗분께서 케이블 규격을 설명했기에 특별하게 재 설명 드리지 않겠습니다.
케이블은 CAT6 규격 또는 이를 충족하는 랜 케이블에 기가 랜카드 + 접속짹이 모두 충족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이 모두를 충족하지 못하면 일반 랜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이는 대부분의 엔지니어가 모두 아는 내용이지만 가끔 지식을 보면 말도 안되는 글들이 올라오기에 답답할때가 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라며, 엠피스에 많은 이미지를 올리수 없어 저의 개인 사이트을 알려 드리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WWW.KDGTL.COM 이동후 제품정보 38번 참고
| ||||||||||
안녕하세요? 많은 분들이 아직도 기가 랜카드 사용시 혼동을 하시는 부분이 많아 답변을 드립니다. 말 그대로 기가 랜카드라는 것은 1000M라는 것입니다. 실로 어마어마한 속도 이지요^^
여기서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UTP케이블로는 속도를 보장 받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아래의 그림을 참고하세요.
위의 이미지처럼 전송 속도를 보시면 잘 아시겠지만 속도의 차이가 크다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케이블의 구조와 설명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속도에 따른 구조가 전부 다릅니다.
- 가가 랜카드 위의 이미지는 기가 랜카드 입니다. 첫번째로 사용하시는 랜카드가 기가랜을 지원하는지 체크하여 보시고 지원이 안된다면 별도로 기가랜카의 장착이 가능합니다.
- 기가랜을 사용하기 위한 랜케이블 및 접속 잭
일반 속도별 접속하는 부품이 전부 다릅니다.
- 최종 마무리 사용자들은 자신의 메인보드에 기가랜카드가 장착이 되어있으면 무조건 기가 속도를 지원하는지 아시겠지만 위의 조건 처럼 아닙니다. 모든 조건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또한 제공 인터넷 회사가 기가의 속도를 제공하여야 정상적인 속도를 보장 받을수 있습니다. 다만 100M의 속도를 지원한다 하더라도 기가로 구성시 쉴드 및 잡신호 보호처리가 되어 속도는 더 빠르고 안정적인 환경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참고사항: 통상 UTP케이블은 8가닥 입니다. 하지만 대부분 4선만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총 8가닥을 사용해야 함이 정상 입니다.
- 각 선별 기능 1. 흑색 종단유형 비지정
- EIA/TIA 568A EIA/TIA 568B 및 핀별 기능
본 내용에 대한 저작권은 "디지털라인"에 있습니다. 무단 전재 재 배포를 금지하며, 해당 이미지는 제공 회사에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