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중국 슈퍼 소비자의 부상

도일 남건욱 2015. 9. 7. 08:17
서양과 중국의 차이를 오랫동안 현장에서
마케팅 관련 컨설팅을 해 온 사비오 챈(Savio S. Chan)이란 분이
잘 정리를 해서 한 권의 책으로 묶었습니다.
1. 중국의 문화와 상업적 인프라, 중국 사회는 모두
오랜 시간에 걸쳐 구축되었기에 그 자체로 깊은 논리를 담고 있다.
중국의 소비자와는 신뢰를 쌓고 추천도 받고 개인적 관계를
맺는 것이 필수인데, 성공 여부는 당신이 그들의 문화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느냐에 달려 있다.
2. 내노라는 소비자 마케팅 거물도 ‘언어’처럼 중요하고
명백한 문제 앞에서 실수하기 마련이다.
브랜드의 전형이라 할 수 있는 코카콜라는 중국 진출 초기에,
이름을 중국어로 옮길 당시 소리를 문자로 그대로
옮기다 보니 말도 안 되게 부적절한 언어를 사용하고 말았다.
‘밀랍 올챙이를 물어라’라는 뜻이 담긴 브랜드를 정하고
말았다.  실패를 딛고 다시 진출할 때
코카콜라는 중국 문자 4만 개 이상을 조사한 끝에
발음이 유사하고 의미 있는 뜻을 담으면서도 상품을 잘 드러낼 수
있는 말을 찾아냈다. ‘커 코우 커 러’ 즉, ‘입안의 행복’이라는 뜻이다. 
3. 중국인이 공유하는 문화적, 역사적 요소는 무엇인가?
-유교/불교/도교를 바탕으로 한 종교 및 철학적 전통, 
무신론자임을 공언하는 정부
-시간과 역사, 관계에 대한 원형적, 순환적 이해
-순전히 중국을 기반으로 한 사회적, 문화적 규범이 지난
3천 년간 일본, 한국, 동남아시아의 사회 및 규범 형성, 중국에서 수출되는
문화는 많아도 수입되는 문화는 극소수에 불과함
-3만 개의 문어를 사용하는 까닭에 서양 언어 및 알파벳보다 미묘한
의미 차이가 훨씬 더 많이 발생
-중국에서는 색과 숫자에 아주 큰 의미를 부여하지만,
서양에는 이런 의미가 거의 존재하지 않음
-오랜 역사에서 걸쳐 정부가 주도하고 집단이 실행하는 상업 활동
-강력하고 열정적인 음식 문화(중국인도 술을 즐겨 마시지만 중국
문화는 술보다 음식에 더욱 초점이 맞춰져 있다.)
-집단에 근거를 둔 지위 및 정체성, 안정감
4. 조금 더 흥미를 더하기 위해 한 가지 사실을 짚고 넘어가자.
중국의 지역 차이가 시간과 지리적 특성에서 온다는 것을 고려할 때
분명해지는 것이 있다.
중국과 중국인은 단일 지역, 단일 민족이 아니다.
우리는 중국을 22개의 각기 다른 시장으로 바라보며 접근한다.
우선 넓은 대륙에 펼쳐져 있는 중국은 기후와 지리, 문화적 영향과 언어,
음식, 미적 가치, 영적 믿음 등에서 상당히 다양하게 나뉜다. 
5. 기본적으로 중국인은 상당히 사회적인 동물로, 언제나 자신이
맺은 인간관계의 영향력과 상태를 헤아리고 계층구조 내의
자기 위치를 극도로 의식한다. 
이런 성향은 중국인이 무엇을 사고 어디로 여행하며,
어떤 부동산에 투자하고 어떤 브랜드를 좋아하는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6. 미국과 중국의 비즈니스 및 문화는 어떻게 다른 가?
-미국 VS 중국
 거래 중심 / 관계중심
 계약이 최우선이라는 믿음 / 실용적, 사실적 현실에 따라 반응
 조직도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임 / 지위, 위신에 따라 달라짐
 전략 강조 / 기회 최대화
 팀 내에서 개별적으로 행동 / 집단 역학에 맞게 행동
 공과 사 구별 / 좋아하는 사람들과 업무 진행
 업무를 기계적으로 바라봄 / 사업을 스포츠로 바라봄
 갈등 표면화 / 갈등 은폐
7. 긴 역사에 뿌리를 둔 중국의 슈퍼 소비자는 3가지 특성을 갖고 있다.
 첫 번째 특징은 그들이 물질로 된 재화, 특히 호화롭거나 정교하게
만들어진 물건에 상당한 관심을 보인다는 것이다.
 두 번째 특징은 현재의 번영이 축하해야 마땅한 자연적 단계라는 것이다.
2000년대 초반의 정세는 심지어 정부 형태조차 역사의 흐름과
완벽히 보조를 같이했으며, 이는 정상적인 과정이었다.
불가피한 절약의 시기는 지나갔다. 
 세 번째 특징은 중국은 부활했고 중국인은 국경 너머 세계에서 
만들어지거나 영감을 받은 물건의 소비자로서, 전에는 누려 보지
못한 위치를 자랑스래 차지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출처: 사비오 챈, (중국의 슈퍼컨슈머), 부키, pp.46~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