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 | 아파트 人生, 당신은 행복하십니까? | ||||||||||||||||||
작성일 | | | 2007.03.23 | ||||||||||||||||||
1. 기획의도 우리나라에 아파트가 본격 도입된 것은 불과 40여년 전이다. 하지만 이제 우리나라는 전 국민의 50% 이상이 아파트에 살고 있고, 매년 짓는 집의 90% 정도가 아파트로 건설되고 있다. 어떻게 우리나라에서는 단기간에 이렇게 아파트 위주의 획일적인 주거문화가 형성됐을까? 아파트에서 사는 삶에 대해 사람들은 얼마나 만족하고 있을까? 아파트는 사람들이 진짜 살고 싶어하는 이상적인 집일까? '시사기획 쌈'은 끊임없이 치솟는 아파트 가격 논란 속에 외면돼 온 우리 삶의 문제를 돌아보고,아파트 주거문화의 미래를 전망해 보고자 한다. 2. 프로그램 개요 ① 아파트 3代 전 국민의 절반 이상이 아파트에 살게 되면서 이제 도시에서는 3대가 아파트에 사는 가족들의 모습이 확산되고 있다. 산부인과 병원에서 태어나 아파트에서 삶을 시작하는 보민이와 30여년을 아파트에서만 살아온 보민이의 부모,그리고 아파트에 의지해 노후를 보내고 있는 보민이 할머니를 통해 아파트가 바꿔 놓은 우리 삶의 단면을 들여다 본다. ② 아파트 공화국 1962년 마포아파트를 시작으로 우리나라는 대단지 아파트 건설을 시작했고 이제는 도시 뿐 아니라 시골 섬 사람들도 아파트에서 살고 있다. 대단지 아파트를 처음 도입한 주택공사 초대 총재 장동운씨,한강맨션 1호 입주자인 탤런트 강부자 씨 등을 통해 아파트의 확산 배경과 역사를 살펴 보고,최근 '아파트 공화국' 이란 책을 쓴 프랑스 학자 발레리 줄레조 교수가 느낀 한국 아파트에 대한 얘기를 들어 본다. ③ 아파트 人生,당신은 행복하십니까? 신입사원부터 임원까지 대기업 직장인 6명을 분석한 결과 전 재산 중 아파트 비중이 최고 90%나 됐고, 아파트를 위해 수입의 50%까지 저축하고 있었다. 현대인이 느끼는 아파트에 대한 인식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수도권 아파트 거주자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74%가 아파트 생활에 '만족한다'고 말하면서도 진짜 살고 싶은 집은 60%가 '주택'을 꼽았다. 아파트가 편리한 주택상품일 뿐 정을 붙이고 사는 집이 되지 못하고 있는 이런 현실은 현대인의 '주거 상실'을 가져 오고 있다. ④ 아파트, 10년 후에는 2018년부터 우리나라의 인구 감소가 시작되고,그 때면 우리나라 주택보급률도 120%를 넘어서게 된다. 10년 후에는 아파트로 인한 사회적 갈등이 사라질 수 있을까? 국내 부동산 전문가 10명은 10년 후에는 아파트에 대한 가격 상승 기대감이 꺾이면서,주택 선호도도 아파트에서 초고층주상복합과 전원주택으로 양분될 것으로 전망했다. 가격 급등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는 완화가 기대되지만, 10년 후 아파트는 '슬럼화'라는 새로운 문제로 우리 앞에 다가설 가능성이 크다. ■ 방송일시 : 2007년 3월 26일 밤 11시 40분~, KBS 1TV ■ 제작진 취재·구성:박영관
|
'부동산기사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값 움직임 (0) | 2007.05.09 |
---|---|
장월ㆍ발산지구 분양원가 뻥튀기 (0) | 2007.04.04 |
대구 혁신도시 주민 대책위 내분으로 갈라서 (0) | 2007.03.25 |
[스크랩] 철거민에 아파트 원가공급해야 (0) | 2007.03.21 |
수도권 거주자 82% "중형 임대 입주 의사 있다" (0) | 2007.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