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기사모음

국내서도 신종플루 중복 확진 보고

도일 남건욱 2009. 11. 26. 20:19

국내서도 신종플루 중복 확진 보고
 
 
    
  2009-11-26 14:09  2009-11-26 15:15  여성 | 남성
김해 거주 24개월 여아 2달만에 2회 확진

 
 
 미국에서 처음으로 신종플루 중복 감염사례가 확인된 가운데 국내에서도 2개월 만에 거듭 확진 판정을 받은 환자가 발생했다.

26일 의료계에 따르면 김해시 소재 거점병원에 20일 내원한 생후 24개월 여아가 지난 9월에 이어 두 번째로 신종인플루엔자 확진 판정을 받았다.

국내에서 신종플루 중복 확진 사례가 보고되기는 이 환자가 처음이며 세계적으로도 드문 경우다.

주치의인 소아과전문의 A씨에 따르면 이 환자는 지난 9월 38.3℃의 고열과 호흡기 증세로 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았다. 당시 병원은 환자의 검체를 수탁검사기관인 녹십자의료재단에 보내 유전자 검사를 실시한 결과 신종인플루엔자 확진 판정을 받았다.

환자는 항바이러스제와 항생제 등 약물치료를 받은 후 건강을 회복해 퇴원했다.

하지만 이 환자는 지난 20일 또 고열로 같은 병원을 찾았으며 내원 당시 39.1℃의 고열을 보였다. 의료진은 9월에 이어 두 번째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고 직접 아르티-피시아르(RT-PCR) 검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날인 21일 또다시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의료진은 중복 감염사례로 의심하고 김해시 보건소에 이를 보고했으며 보건소가 동일한 검체로 다시 유전자 검사를 실시한 결과 24일 신종플루 양성으로 재확인됐다.

일반적으로 특정 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건강을 회복하면 항체가 형성돼 동일한 바이러스에는 다시 감염되지 않는다.

다만 이 환자의 경우 첫 확진 판정 때 검체에 대해 재확인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에 첫 번째 검사에서 잘못된 검사결과가 나왔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변종' 바이러스에 감염돼 기존 신종플루 면역이 작동하지 못했거나 어린 환자의 면역체계가 성숙하지 않아 충분한 면역이 형성되지 못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김해시 보건소 관계자는 "변종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가능성이 있어 유전자 염기서열 전체 분석을 위해 질병관리본부에 검체를 보내기로 하고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이 환자는 지난 9월만큼 상태가 심각하지 않아 외래치료를 받고 있다.

고대의대 감염내과 김우주 교수는 "임상적으로 중복 감염이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며 "면역체계가 성숙되지 않은 영아에게 항바이러스제가 조기에 투여된 점을 고려할 때 1차 감염에서 충분한 면역력이 형성되지 않아 재감염이 일어날 가능성은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