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띠 졸라매 비용↓ 경영혁신으로 수익↑
원전 추가 건설비 70조원을 확보하라!
사업본부제 도입으로 자율 책임경영 … 회사채 탄력적 발행도 검토
사업본부제 도입으로 자율 책임경영 … 회사채 탄력적 발행도 검토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을 2020년까지 2005년 대비 4% 줄이겠다.”
|
정부가 수립한 국가에너지 기본계획에도 ‘2030년까지 원전 발전량 비중을 늘려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겠다’는 내용이 들어 있다. 원전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양이 미미하기 때문이다.
2008년 말 원전 비중은 화력(62%)에 이은 2위(36%)다. 이를 2020년까지 59%로 끌어올리겠다는 게 정부의 구상이다. 그러기 위해선 원전의 추가 건설이 불가피하다. 한국수력원자력 측은 “운영하고 있는 20기, 건설 중인 8기 외에도 추가 11기가 더 건설돼야 한다”고 밝혔다. 원전이 지금보다 2배가량 늘어야 목표치 59%를 달성할 수 있다는 얘기다.
그런데 쉬운 일이 아니다. 원전 1기를 짓는 데 드는 비용은 평균 3조5000억원. 11기를 더 만들기 위해선 38조5000억원이 필요하다. 여기에 연료 구입비, 출력 증강비까지 포함하면 필요 비용은 70조원에 달한다. 재원 마련 방법은 뭘까? 한수원은 일단 원가절감을 통해 건설비용을 모을 방침이다.
‘티끌 모아 태산’ 전략이다. 다양한 건설자재를 통합 조달해 구매비용을 낮춘 것은 첫째 발걸음이다. 원전 이용률도 더 높일 계획이다. 이는 원전의 발전설비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있는지 따져보는 척도로, 수치가 높을수록 활용도가 많고 경비를 절감한다는 뜻이다.
한수원에 따르면 원전 이용률이 10% 높아지면 1000㎿급 표준형 원전 2기가 1년 생산하는 전력을 아낄 수 있고, 각종 부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수원 김종신 사장은 “우리의 원전 이용률은 93.4%(2008년)인데, 이는 세계 평균(79.4%)보다 14%포인트 높은 수준”이라면서도 “하지만 경비를 절감하기 위해선 원전 이용률을 더욱 높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강도 높은 구조조정과 경영선진화 작업도 눈길을 끈다. 한수원은 최근 정원의 13%를 넘는 1069명을 감축하기로 결정했다. 뼈를 깎는 구조조정으로 ‘고효율 저비용’ 조직으로 거듭나겠다는 한수원의 의지가 읽힌다. 또 팀장급 인사에 헤드헌팅 방식을 도입해 성과 중심 시스템을 갖췄고, 직군을 하나로 묶어 인력운영의 효율성을 높였다.
경영효율 향상을 위해 사업본부제도 도입·시행하고 있다. 지역 사업부 본부장은 사장과 별도의 경영계약을 맺고 자율경영을 꾀한다. 한수원 관계자는 “고리·월성·울진·영광 등 4개 원전 본부장과 한강수력 본부장은 (이 계약으로) 권한을 대폭 위임받아 자율경영활동을 할 수 있게 됐다”면서도 “하지만 경영성과가 미진할 경우 교체될 수 있는 등 막중한 책임도 함께 요구된다”고 말했다.
김종신 사장은 “원전 건설을 위해 신규 재원을 확보하는 게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며 “상대적으로 낮은 원자력 판매단가를 높이는 방법도 있지만 우리 스스로 자구책을 마련해 재원을 확보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또 “장기저리의 국내외 회사채를 탄력적으로 발행해 안정적으로 외부자금을 적기에 차입할 수 있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허리띠부터 먼저 졸라매고 외부 힘을 빌리겠다는 구상이다.
'낙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무인기 12월초 첫 비행 (0) | 2009.12.18 |
---|---|
수소연료전지 자전거, “물건일세” (0) | 2009.12.05 |
150t급 비행기 충돌해도 끄떡없다지하 벙커도 울고 갈 한국형 원전 방어막 (0) | 2009.12.04 |
“원자력은 에너지가 아니라 지혜다”인터뷰 한국수력원자력 김종신 사장 (0) | 2009.12.04 |
원자력으로‘두 마리 토끼’단번에 잡아라태양광보다 청정한 에너지 원자력 (0) | 2009.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