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에 1m 쓰나미 78년마다 재현 가능"
김민규 원자력硏 박사 "5m는 900여년마다"
연합뉴스 | 정윤덕 | 입력 2011.03.27 07:32 | 수정 2011.03.27 13:24 | 누가 봤을까? 50대 남성, 강원
(대전=연합뉴스) 정윤덕 기자 = 우리나라 동해안에서 최대 1m 높이의 쓰나미가 짧게는 78년마다 재현될 확률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27일 대전 한국원자력연구원 김민규 박사 등의 '경험자료에 의한 동해안의 지진해일 재해도 평가' 논문에 따르면 조선시대 이후 동해안에 영향을 미친 쓰나미 기록을 근거로 동해안에서 최대 1m 높이의 쓰나미가 78∼86년을 주기로 재현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계산됐다.
또 최대 15m 높이의 쓰나미는 33만2천114∼52만9천507년을 주기로 발생할 확률이 있다고 분석됐다.
김 박사는 논문에서 "앞으로 동해안에 쓰나미를 유발할 수 있는 모든 단층으로부터의 쓰나미 전파 모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재해도 평가를 수행한다면 좋은 비교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쓰나미 재현주기 평가는 원자력발전소의 쓰나미에 의한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를 위해 반드시 수행해야 할 내용"이라고 밝혔다.
한편 조선시대에는 △1643년 6월 21일(울산에서 큰 파도가 12보까지 육지에 들락거렸다) △1668년 7월 25일(철산 바닷물이 크게 넘치고 지진이 일어나 지붕의 기와가 모두 기울어졌다) △1681년 6월 24일(8도에서 모두 지진이 발생했으며 강원도 신흥사 및 계조굴의 거암이 모두 붕괴됐고 평일에 바닷물이 차있던 곳이 100여보 노출됐다) △1702년 11월 28일(강원도에서 해일로 표몰한 인가가 많았다) △1741년 7월 19일(하루에 7∼8차례나 동해 바닷물이 넘어들어 인가가 많이 표몰됐다)에 쓰나미 피해를 봤다는 기록이 있다.
이후에는 △1940년 8월 2일 일본 카무이미사키 지진(규모 7.0) △1964년 6월 16일 니가타 지진( " 7.5) △1983년 5월 26일 동해 중부 지진( " 7.7) △1993년 7월 12일 일본 홋카이도 남서외해 지진( " 7.8) 등이 발생했으며 이 중 1983년 지진 때는 임원항에서 4.2m의 파도높이가 관측됐고 사망 1명, 실종 2명 등 피해를 냈다.
cobra@yna.co.kr
'낙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原電 강국 안전나사 조이자]<3·끝> 안전한 4세대 원전을 향해 (0) | 2011.03.30 |
---|---|
[原電 강국 안전나사 조이자]<2> 한국 원전의 5대 취약점 (0) | 2011.03.30 |
<日대지진> 日 '원전 30㎞ 밖 방사능 피해' 시사 (0) | 2011.03.24 |
日 앞바다 방사성물질 한반도 올 가능성 거의없어 (0) | 2011.03.23 |
울진 주민 1만6000명에 방호복 500벌·방독면 2700개뿐 (0) | 2011.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