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속 줄기세포 이동 유도기술 개발
세브란스 이진우 교수팀…테고사이언스에 기술이전 연합뉴스 김길원 입력 2012.02.14 14:02세브란스 이진우 교수팀…테고사이언스에 기술이전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 이진우 교수팀은 외부에서 배양·증폭과정을 거쳐 다시 주입하는 기존의 줄기세포 시술법과 달리 특정 단백질만 주입해 몸속의 줄기세포가 병변으로 모이게 하는 '줄기세포 체내이동 유도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교수팀은 이날 바이오벤처기업인 테고사이언스에 46억원을 받고 이 기술을 이전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번 기술은 인체단백질의 일종인 '케모카인'을 사용해 몸속의 연골줄기세포가 손상된 목표지점으로 곧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게 핵심이다.
보통 줄기세포를 조직 재생에 이용하려면 줄기세포를 빼내 체외 배양 과정을 거친 다음 세포수를 최대로 늘려 원하는 병소에 주입하는 방식이 주로 활용돼 왔다.
하지만 이번 기술을 이용하면 체외 배양·증폭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 대신 연구팀이 찾아낸 케모카인 단백질을 주입하면 이 단백질이 몸속에 흩어져 있던 줄기세포가 특정 병변에 고농도로 집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손상된 조직을 재생시킬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번 기술을 당뇨로 인한 피부 궤양이나 관절연골의 결손 등을 치료하는 데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진우 교수는 "체외 배양에서 증폭, 시술에 이르는 일련의 줄기세포 시술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2세대 줄기세포치료제 개발의 토대가 될 것"이라며 "환자들에게 보다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치료법으로 상용화하겠다"고 말했다.
bio@yna.co.kr
http://blog.yonhapnews.co.kr/scoopkim
(끝)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또 찢어진 눈"…스타벅스 한국인 비하 논란
☞유명아이돌, 前여친에 '알몸사진 공개' 협박받아
☞`하우스푸어' 급증…가계 빚ㆍ이자 눈덩이(종합)
☞윤종신 "난치병 앓고 있다"
☞"FTA폐기 주장하는 사람에 나라 못맡겨"(종합2보)
<연합뉴스 모바일앱 다운받기>
<포토 매거진>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세브란스 이진우 교수팀…테고사이언스에 기술이전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 이진우 교수팀은 외부에서 배양·증폭과정을 거쳐 다시 주입하는 기존의 줄기세포 시술법과 달리 특정 단백질만 주입해 몸속의 줄기세포가 병변으로 모이게 하는 '줄기세포 체내이동 유도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교수팀은 이날 바이오벤처기업인 테고사이언스에 46억원을 받고 이 기술을 이전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번 기술은 인체단백질의 일종인 '케모카인'을 사용해 몸속의 연골줄기세포가 손상된 목표지점으로 곧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게 핵심이다.
보통 줄기세포를 조직 재생에 이용하려면 줄기세포를 빼내 체외 배양 과정을 거친 다음 세포수를 최대로 늘려 원하는 병소에 주입하는 방식이 주로 활용돼 왔다.
하지만 이번 기술을 이용하면 체외 배양·증폭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 대신 연구팀이 찾아낸 케모카인 단백질을 주입하면 이 단백질이 몸속에 흩어져 있던 줄기세포가 특정 병변에 고농도로 집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손상된 조직을 재생시킬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번 기술을 당뇨로 인한 피부 궤양이나 관절연골의 결손 등을 치료하는 데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진우 교수는 "체외 배양에서 증폭, 시술에 이르는 일련의 줄기세포 시술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2세대 줄기세포치료제 개발의 토대가 될 것"이라며 "환자들에게 보다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치료법으로 상용화하겠다"고 말했다.
bio@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 이진우 교수팀은 외부에서 배양·증폭과정을 거쳐 다시 주입하는 기존의 줄기세포 시술법과 달리 특정 단백질만 주입해 몸속의 줄기세포가 병변으로 모이게 하는 '줄기세포 체내이동 유도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교수팀은 이날 바이오벤처기업인 테고사이언스에 46억원을 받고 이 기술을 이전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번 기술은 인체단백질의 일종인 '케모카인'을 사용해 몸속의 연골줄기세포가 손상된 목표지점으로 곧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게 핵심이다.
보통 줄기세포를 조직 재생에 이용하려면 줄기세포를 빼내 체외 배양 과정을 거친 다음 세포수를 최대로 늘려 원하는 병소에 주입하는 방식이 주로 활용돼 왔다.
하지만 이번 기술을 이용하면 체외 배양·증폭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 대신 연구팀이 찾아낸 케모카인 단백질을 주입하면 이 단백질이 몸속에 흩어져 있던 줄기세포가 특정 병변에 고농도로 집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손상된 조직을 재생시킬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번 기술을 당뇨로 인한 피부 궤양이나 관절연골의 결손 등을 치료하는 데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진우 교수는 "체외 배양에서 증폭, 시술에 이르는 일련의 줄기세포 시술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2세대 줄기세포치료제 개발의 토대가 될 것"이라며 "환자들에게 보다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치료법으로 상용화하겠다"고 말했다.
bio@yna.co.kr
'생명과학기사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바이오앤디오스텍 정형민 사장 - “줄기세포 만병통치약 아니다”3월 중 배아줄기세포 실명치료제 임상 돌입…2016년 세계 최초로 상용화 목표 (0) | 2012.02.15 |
---|---|
탄력 받는 줄기세포 치료제 - 치매·당뇨병 5년 안에 정복 가능세계 최초 줄기세포 치료제 국내 기업이 잇따라 출시…미래 밝지만 섣부른 기대는 금물 (0) | 2012.02.15 |
300만살 박테리아 발견 "인간수명 연장에 도움될 것" (0) | 2012.02.11 |
‘듣고 이해하는’ 뇌 부위 잘못 알려졌다 (0) | 2012.02.01 |
신경·심장세포 칼슘채널 분자적 원리 규명 (0) | 2012.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