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경영기사모음

<무너지는 지역의료>②의료자원 지역불균형 극심

도일 남건욱 2012. 2. 27. 18:29

<무너지는 지역의료>②의료자원 지역불균형 극심

연합뉴스 | 서한기 | 입력 2012.02.27 09:32

(전국종합=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 우리나라의 지역별 의료자원 불균형 상태는 극심하다. 의료시설, 의료인력, 병상 수 등 의료공급의 모든 측면에서 지역 간 편차가 크다.

보건의료서비스의 지역 불평등으로 말미암아 일부 의료취약지역은 국가 시행 의료사업에서조차 차별받기 일쑤다.

◇무료 암 검진…취약지역엔 '그림의 떡'

우리나라는 1999년부터 국가 암 조기검진 사업을 벌이고 있다. 국민의 식생활습관이 서구화하고, 고령화로 노인인구가 늘면서 해마다 암 환자가 급증한 현실이 배경이다.

일단 의료급여수급권자부터 시작했다. 2011년 현재 건강보험 가입자나 피부양자 중에서 건강보험료 부과기준으로 하위 50%까지 검진대상을 확대했다. 나이는 만 40세 이상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이들이 위암ㆍ간암ㆍ대장암ㆍ유방암ㆍ자궁경부암 등 5대 암을 자신이 사는 지역 검진기관에서 공짜로 검사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암 무료 검진사업은 의료취약지역에 거주하는 이들에겐 '그림의 떡'이나 마찬가지다.

국립암센터의 '지역 암센터 평가 및 전문형 지역 암센터 운영방안 개발(2008년)' 자료를 보면 암 검진기관이 없는 시군구가 전국적으로 35곳에 이른다. 인천에는 옹진군과 강화군 등 2곳에 암 검진기관이 없었다.

경기 4곳(안산 단원구, 안산 상록구, 과천, 의왕), 강원 4곳(양양, 인제, 고성, 화천), 충북 2곳(청원, 단양), 충남 4곳(청양, 태안, 당진, 연기), 전북 6곳(순창, 장수, 임실, 무주, 진안, 완주), 전남 2곳(신안, 곡성), 경북 6곳(울릉, 영덕, 청송, 군위, 성주, 영양), 경남 3곳(산청, 하동, 고령), 제주 2곳(북부, 남부) 등에서도 암 검진기관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인천을 빼고 모든 특별시와 광역시에 속한 시군구에는 모두 암 검진기관이 있었다. 반면, 도 단위에는 암 검진기관이 없는 시군구가 상당히 많았다.

◇병원급 의료기관 없는 지역도 `상당수'

전국 시군구 중 병원급 의료기관이 없는 데가 11곳에 이르렀다. 강원은 평창군ㆍ화천군ㆍ고성군ㆍ양양군 등 4곳, 전북은 무주군ㆍ장수군ㆍ순창군 등 3곳, 전남은 영암군, 경남은 산청군, 부산은 강서구, 경기는 과천시에 병원급 의료기관이 없었다.

부산 강서구와 과천시 등 2곳을 빼고는 모두 농촌지역이다. 농촌지역의 의료서비스 소외현상이 심각하다는 증거이다.

종합병원이 없다는 말은 종합병원에 있어야 할 필수 진료과가 없을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다.

시군마다 응급실, 중환자실, 분만실, 신생아실 등이 1개 이상은 있어야 정상인데, 그렇지 않은 시군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필수의료시설이 없는 곳에 사는 사람들의 고통이 이만저만한 게 아니다.

임신부는 출산과정에서 애를 먹기 일쑤다. 가까운 곳에 산부인과가 없다 보니, 산부인과 진료를 받으려고 할 때마다 무거운 몸을 이끌고 멀리 도시지역으로 원정을 가야 한다.

강원도 고성에 사는 주부 장모(30)씨. 그는 지난해 첫째 아이를 낳았다. 임신기간 장씨는 버스를 타고 속초에 있는 병원을 오가야 했다.

장씨는 "다음에 둘째를 가질 때는 산부인과가 있는 지역으로 집을 옮길까라는 생각도 했다"고 말했다.

이뿐만이 아니다. 병상 수의 지역별 편차도 크다. 인구 1만 명당 병상 수를 보면 대전 중구가 394.2개가 되는데 경남 산청군은 고작 2.6개에 그쳤다. 병상 수 하위 10개 지역 중 과천을 제외한 9개 지역이 모두 농촌지역이었다.

인력의 지역편중은 말도 꺼낼 수 없을 지경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의료자원정보에 따르면 1월 말 현재 우리나라 전체 인구는 5천51만5천666명, 전국의 의사는 12만2천780명으로 인구 1천 명당 평균 의사 수는 2.4명이다.

그런데 강원도 고성군, 양양군과 충북 청원군, 경북 봉화군, 경기도 과천시는 인구 1천 명당 의료인력이 1명뿐이었다.

인구 1천 명당 의사 수가 가장 많은 곳은 대구시 중구(20.2명)이며, 서울시 종로구가 13.9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shg@yna.co.kr

(끝)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軍, 전자장비 마비수준 EMP탄 기술 개발

<강용석 "조만간 4월 총선 출마 선언">

정두언 "與 공천과정, 불통 넘어 먹통"

與, 이재오 공천ㆍ강남벨트 전략지 선정한듯(종합)

<정몽준 "공천놓고 걱정의 목소리..절차 중요">

<연합뉴스 모바일앱 다운받기>

<포토 매거진>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전국종합=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 우리나라의 지역별 의료자원 불균형 상태는 극심하다. 의료시설, 의료인력, 병상 수 등 의료공급의 모든 측면에서 지역 간 편차가 크다.

보건의료서비스의 지역 불평등으로 말미암아 일부 의료취약지역은 국가 시행 의료사업에서조차 차별받기 일쑤다.

◇무료 암 검진…취약지역엔 '그림의 떡'

우리나라는 1999년부터 국가 암 조기검진 사업을 벌이고 있다. 국민의 식생활습관이 서구화하고, 고령화로 노인인구가 늘면서 해마다 암 환자가 급증한 현실이 배경이다.

일단 의료급여수급권자부터 시작했다. 2011년 현재 건강보험 가입자나 피부양자 중에서 건강보험료 부과기준으로 하위 50%까지 검진대상을 확대했다. 나이는 만 40세 이상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이들이 위암ㆍ간암ㆍ대장암ㆍ유방암ㆍ자궁경부암 등 5대 암을 자신이 사는 지역 검진기관에서 공짜로 검사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암 무료 검진사업은 의료취약지역에 거주하는 이들에겐 '그림의 떡'이나 마찬가지다.

국립암센터의 '지역 암센터 평가 및 전문형 지역 암센터 운영방안 개발(2008년)' 자료를 보면 암 검진기관이 없는 시군구가 전국적으로 35곳에 이른다. 인천에는 옹진군과 강화군 등 2곳에 암 검진기관이 없었다.

경기 4곳(안산 단원구, 안산 상록구, 과천, 의왕), 강원 4곳(양양, 인제, 고성, 화천), 충북 2곳(청원, 단양), 충남 4곳(청양, 태안, 당진, 연기), 전북 6곳(순창, 장수, 임실, 무주, 진안, 완주), 전남 2곳(신안, 곡성), 경북 6곳(울릉, 영덕, 청송, 군위, 성주, 영양), 경남 3곳(산청, 하동, 고령), 제주 2곳(북부, 남부) 등에서도 암 검진기관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인천을 빼고 모든 특별시와 광역시에 속한 시군구에는 모두 암 검진기관이 있었다. 반면, 도 단위에는 암 검진기관이 없는 시군구가 상당히 많았다.

◇병원급 의료기관 없는 지역도 `상당수'

전국 시군구 중 병원급 의료기관이 없는 데가 11곳에 이르렀다. 강원은 평창군ㆍ화천군ㆍ고성군ㆍ양양군 등 4곳, 전북은 무주군ㆍ장수군ㆍ순창군 등 3곳, 전남은 영암군, 경남은 산청군, 부산은 강서구, 경기는 과천시에 병원급 의료기관이 없었다.

부산 강서구와 과천시 등 2곳을 빼고는 모두 농촌지역이다. 농촌지역의 의료서비스 소외현상이 심각하다는 증거이다.

종합병원이 없다는 말은 종합병원에 있어야 할 필수 진료과가 없을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다.

시군마다 응급실, 중환자실, 분만실, 신생아실 등이 1개 이상은 있어야 정상인데, 그렇지 않은 시군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필수의료시설이 없는 곳에 사는 사람들의 고통이 이만저만한 게 아니다.

임신부는 출산과정에서 애를 먹기 일쑤다. 가까운 곳에 산부인과가 없다 보니, 산부인과 진료를 받으려고 할 때마다 무거운 몸을 이끌고 멀리 도시지역으로 원정을 가야 한다.

강원도 고성에 사는 주부 장모(30)씨. 그는 지난해 첫째 아이를 낳았다. 임신기간 장씨는 버스를 타고 속초에 있는 병원을 오가야 했다.

장씨는 "다음에 둘째를 가질 때는 산부인과가 있는 지역으로 집을 옮길까라는 생각도 했다"고 말했다.

이뿐만이 아니다. 병상 수의 지역별 편차도 크다. 인구 1만 명당 병상 수를 보면 대전 중구가 394.2개가 되는데 경남 산청군은 고작 2.6개에 그쳤다. 병상 수 하위 10개 지역 중 과천을 제외한 9개 지역이 모두 농촌지역이었다.

인력의 지역편중은 말도 꺼낼 수 없을 지경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의료자원정보에 따르면 1월 말 현재 우리나라 전체 인구는 5천51만5천666명, 전국의 의사는 12만2천780명으로 인구 1천 명당 평균 의사 수는 2.4명이다.

그런데 강원도 고성군, 양양군과 충북 청원군, 경북 봉화군, 경기도 과천시는 인구 1천 명당 의료인력이 1명뿐이었다.

인구 1천 명당 의사 수가 가장 많은 곳은 대구시 중구(20.2명)이며, 서울시 종로구가 13.9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sh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