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병호박사님이 읽은 책

의지력 강화법

도일 남건욱 2012. 7. 11. 15:33

의지력을 강화하는 방법은 없을까?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인기를 끈 심리학 강연의
의견입니다.

1. 의지력이란 목표를 달성하고 말썽에 휘말리지
않도록 도와주는 세 가지 힘인 ‘긍정 의지력’,
‘부정 의지력’ 열정력을 통제하는 것이다.
우리에게는 세 가지를 모두 뒷받침해주는 뇌가
있다.

2. 긍정의지력: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필요하기
때문에 무엇보다 해 보고 싶거나 더는 미루고 싶지 않은 일은
무엇인가?

3. 부정의지력: 살아가면서 가장 떨쳐버리기 어려운 불쾌한
습관은 무엇인가? 건강이나 행복, 성공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포기하고 싶거나 줄이고 싶은 일은 무엇인가?

4. 열정력: 장기적인 목표 중에서 에너지를 집중적으로 쏟아붓고
싶은 가장 중요한 일은 무엇인가?
이런 장기적인 목표를 이루지 못하도록 정신을
산만하게 하거나 마음을 흔들어놓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충동, 즉 일시적인 욕망의 열정력은
무엇인가?

5. 자기 인식, 특히 의지력이 어떻게 무너지는지
자각하는 것이야말로 자제력의 기반이다. 우리는 인간적인
자신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의지력의 과학에서 단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누구나
어느 정도는 유혹, 중독, 주의 산만함, 게으름 때문에
힘겨워한다는 점이다. 이런 것들은 인격의 부족함을
드러내는 개인적인 약점이 아니라, 누구나 겪는 보편적인
경험이자 인간이기에 어쩔 수 없이 겪는 조건의 일부분이다.

6. 자기절제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우선 자기인식력을
길러야만 한다. 바람직한 첫 번째 단계는 의지력의 도전과제와
관련한 어떤 결정을 내리면서 자신을 주의 깊에 살펴보는 것이다.
때로는 “퇴근 후에 피트니스 클럽에 갈까?”와 같이 비교적 분명한
결정도 있고, 때로는 나중에 결과가 완전히 나타나기 전까지는
파급력을 판단하기 어려운 결정도 있다.

7. 이따금 일과를 마친 다음 하루를 되돌아 보면서
나의 목표에 도움이 되는 결정을 내렸는지 해를
끼치는 결정을 내렸는지 분서해 보기 바란다.

8. 나의 결정을 되새겨보려고 계속 노력하다 보면 주의가
산만할 때 결정하는 횟수를 줄이는 데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이는 의지력을 복돋울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이다.

9. 호흡에 집중하는 것은 단순한 방법이지만
뇌를 훈련하고 의지력을 길러주는 데 더할 나위 없이
효과적인 방법이다.
스트레스를 줄여줄 뿐만 아니라 갈망, 걱정, 욕망처럼 집중력을
분산시키는 내적인 요인과 소리, 광경, 냄새처럼 외적인 유혹을
모두 다룰 수 있는 방법을 마음에 알려준다.

10. 현대인의 뇌 구조 덕분에 우리의 내면에서는 생각과 감정,
행동의 자제력을 두고 여러 개의 자아가 경쟁한다.
그러므로 의지력의 도전과제 하나하나는 이런 여러 개의 자아가
서로 각축을 벌이는 대결의 장인 셈이다. 다른 자아들을 물리치고
상위 자아에게 책임을 맡기기 위해서는 자기인식과 자기절제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그렇게 할 때 우리는 비교적 어려운 일을 해내겠다는 의지력과
열정력을 발견할 수 있다.

11. 의지력을 빨리 충전하고 싶을 때
가장 확실한 방법은 밖으로 나가는 것이다.
학자들이 주장하는 ‘녹색 운동’을 5분 동안만 해본다다면 스트레스가
줄고 기분이 좋아지며 집중력이 강화되고 자기절제력이 향상될 것이다.
녹색운동이란 밖으노 뛰쳐나가서 푸른 대자연 속에서 하는 모든
신체활동을 가리킨다. 가장 기뿐 소식은 녹색 운동이 신속한
해결책으로 충분하다는 점이다.
-출처: 켈리 맥고니걸, (나는 항상 결심만 할까?>, 알키, pp.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