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경영기사모음

편의점 판매는 다가오는데...'어떻게 할까?'

도일 남건욱 2012. 10. 24. 14:17


[특별기획]전국 시도지부의 현안과 고충③
올해 약사사회는 그 어느 때보다 많은 현안들로 씨름해왔다. 대한약사회 차원에서는 안전상비약 편의점 판매, 전문·일반약 재분류 등을 놓고 정부와 신경전을 벌여왔다. 각 지부도 마찬가지다. 팜파라치 등 지역 약사사회의 쟁점 현안과 지부 차원에서의 난제 때문에 해결방안 찾기에 고군분투해온 것이다. 약사공론은 전국 16개 지부의 주요 현안과 고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해법을 제시해본다.[편집자주]

----------[글 싣는 순서]----------
①팜파라치와 시도지부별 대응 전략
①-1 팜파라치와 약국가 현실
①-2 팜파라치와 각 시도지별 대응방식
②근무약사 인력난과 시도지부별 전략
③현 정부의 약사정책과 약국들
④약국 판매보조원제와 약사사회
⑤심평원 현지조사로 인한 약국 혼란
⑥약사회원 회무참여도 저조와 해법
⑦경기지부 분회간 편차 극복 방안
⑧의약품안전교육 강화 방안
---------------------------------

11월 15일 시행 예정인 안전상비약 13품목의 편의점 판매와 관련해 약국가의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영향분석에 대한 요구도 거세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지부 사무국에 따르면 "안전상비약의 편의점 판매 시점이 다가오면서 해당품목과 약국가의 영향에 대한 문의가 많아지고 있다"며 "약사공론 등 전문지에 보도된 기사들을 정리해 안내하고 있지만 회원들의 우려는 여전한 것 같다"고 말했다.

실제 본지가 올해 8월 온라인을 통해 '11월 15일부터 시행되는 안전상비약 13품목의 편의점 판매와 관련 약국가에 어느 정도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는가'에 대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총 500명의 응답자 중 가장 많은 30.4%(152명)가 '크다'고 답했다. 이와 함께 '매우 크다'는 응답도 13.2%(66명)로, 이들 응답군을 합하면 43.6%가 편의점 판매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나타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처방조제보다 일반약 매출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동네약국의 경우 안전상비약의 편의점 판매에 대해 민감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대전지역에서 동네약국을 운영하는 모 약사는 이번 안전상비약으로 분류된 품목의 경우 일반약 중에서도 판매 비중이 높았던 만큼 문전약국보다는 일반약 매출이 상대적으로 높은 동네약국에 대한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아직 편의점 판매가 실시되기 전이라 정확한 영향분석은 어렵겠지만 관련 품목이 동네약국 매출에 얼마만큼 영향을 미칠 것인지 예측할 수 있다면 대비가 가능하지 않겠느냐"고 전했다.


IMS데이터에 따르면 2010년 기준 국내 일반의약품 시장규모는 1.9조원 수준으로 안전약비약으로 확정된 타이레놀 등 13개 품목은 그 중 574억3700만원, 전체 3.02%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품목은 대부분 일반약 시장에서 대표성을 가진 브랜드 품목이기 때문에 안전상비약으로 약국 외에서 판매될 경우 약국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다만 이번에 분류된 안전상비약 13품목이 대부분 약국에서 마진없이 판매돼왔다는 점을 가만할 때 아직 예단하기는 이르지만 지난해 자양강장제와 액상소화제, 상처치료제, 진통제 등이 일부 의약외품으로 전환되면서 약국시장이 술렁였던 것을 돌이켜 볼 때 분명 파장은 적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