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혈자극 효과 있다 vs. 신경계 기능규명 우선 뇌과학으로 침술 효과 규명될까 2012년 11월 07일 |
![]() ![]() “침술 효과는 분명히 있다. 뇌 과학을 통해 그 증거를 찾겠다.”(브루스 로젠 미국 하버드 의대 교수) “침술이란 신경계 자극에 대한 인체 반응이다. 옛 방식의 효과 규명 보다는 뇌신경계의 전체 기능 규명에 나서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조장희 가천의과대 뇌과학연구소장) 한의학에서 ‘침’은 주요한 치료방법 중 하나다. 많은 사람들이 효과를 인정하지만 과학적 원리가 뚜렷이 밝혀지지 않은 미지의 영역이다. 침의 진통기전을 밝힌 논문은 간혹 있었지만 병에 대한 치료 효과를 밝힌 연구 성과는 없다. 이 때문에 현대의학에서는 침의 통증관리 효과는 인정하지만, 직접적 치료효과는 부정하고 있는 상태. 침술의 과학성을 놓고 세계적인 뇌 과학자 두 사람이 논쟁을 벌이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발단은 뇌영상 분야 석학인 브루스 로젠(Bruce Rozen) 미국 하버드 의대 교수가 '뇌과학으로 침술 효과를 규명하겠다'고 도전한 것. 로젠 교수는 이달 6일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열린 ‘국제 뇌신경 영상과 침 연구 심포지엄’ 참석차 한국을 찾았다. 로젠 교수는 이날 세미나에서 “침술의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미국 정부로부터 1100만 달러(약 120억 원) 연구비를 받았다”며 “침술 전문가들과 협력해 효과를 증명하겠다”고 했다. 이 연구에는 한의학연구원도 참여하게 되는데, 연구원 측은 전문가 한 사람을 하버드 의대에 파견할 계획이다. 로젠 교수는 만성요통환자에게 침을 맞게 한 뒤, 환자의 뇌 속 혈류량을 fMRI(기능성자기공명장치)로 찍어 뇌의 상태변화를 보겠다는 것이다. 그는 “만성통증 환자들은 뇌 속에 일반인이 통증을 느끼는 것과 전혀 다른 신호체계가 있다”며 “요통환자들이 침을 맞으면 이들에게만 나타나는 뇌 신호가 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지난 해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에 침술이란 피부자극에 따른 수용체 변화라는 연구결과가 실린 것에 대해 묻자, 로젠 교수는 “혈자리 근처를 뾰족한 물건으로 자극하기만 해도 효과 있다는 사람이 많아 그 연구결과는 수긍하기 어렵다”며 “침의 효과 자체를 검증하는 것이 이번 연구의 목적이기 때문에 혈이 아닌 곳을 자극하는 등의 비교 연구는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이 같은 시도에 대해 국내 뇌과학 분야 석학인 조장희 가천의과대 뇌과학연구소 소장은 반대 입장을 드러냈다. 조 소장은 “로젠 교수의 시도는 환영할 만한 것"이라고 전제하고 "경우에 따라 침술의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만, 그 효과를 과학적으로 규명하려면 전혀 다른 접근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조 소장이 유사한 연구를 진행한 바 있다. 그는 “1998년에 내가 발표했던 논문도 로젠 교수의 방법과 거의 같다”며 “당시 침술이 효과가 있을 것으로 봤지만 추가 연구결과 ‘경혈’이란 개념이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으로 밝혀져 5년 후 논문을 철회했다”고 말했다. 조 소장은 당시 눈과 연결돼 있다고 알려진 발바닥 한 복판의 ‘용천혈’에 침을 놓고 환자의 상태를 fMRI로 촬영했다. 침을 맞자 실제로 시력 기능을 담당하는 뇌기능이 활성화 되는 것을 확인하고 ‘경혈과 침술이 관계가 있다’ 논문을 PNAS(미국립과학원회보)에 실었다. 조 소장은 이후 몇 년간 추가 연구를 통해 발은 물론 팔이나 다리 등 어떤 곳을 찔러도 뇌의 같은 곳을 반응해 ‘경혈’의 증거가 사라졌다고 보고 논문을 자진 철회했다. 그는 “침술이란 인체의 신경계 자극을 이용하는 것”이라며 “오래된 시술방법을 애써 검증하려하기 보다는, 뇌와 신경계의 기능 자체를 규명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조 소장은 또 “뇌 속 깊은 곳이 인간의 신경계와 어떻게 교감하는지를 연구하는 ‘딥 브레인’ 연구가 필요하며, 지금도 그 같은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로젠 교수의 연구는 내년 1월 시작해 5년 간 진행되는 만큼 '경혈'의 과학성은 5년 뒤에 판명날 예정이다. 로젠 교수는 “기(氣)의 존재를 과학적으로 인정하긴 어렵지만 침술은 효과가 인정된 치료기법인 만큼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전=전승민 기자 enhanced@donga.com |
'생명과학기사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방암 세포 자살 유도하는 약물조합 발견 (0) | 2012.11.19 |
---|---|
사람과 유사 ‘돼지 유전체 지도’ 완성 (0) | 2012.11.16 |
제주대 박세필 교수팀, 플로스원(PLOS ONE)에 논문 (0) | 2012.10.16 |
<생체 의수 이식한 英 '600만불 사나이'> 전기신호로 움직이는 생체 의수로 장애극복 (0) | 2012.09.30 |
새끼 낳은 라이거, 생물학 교과서 바꾸나? (0) | 2012.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