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10~12일 중국은 중앙경제공작회의(경제공작회의)를 개최한다. 이 회의에서 중국 정부는 한 해의 경제 성과를 돌아보고 국내외 경기 상황을 고려해 내년 경제정책 방향을 결정한다. 중국은 이번 경제공작회의에서 2011년 국가재정 목표를 설정하고 신규대출과 인플레이션 목표치를 논의할 예정이다. 12월 9일 현재 2011년보다 물가상승률 목표치는 높게, 신규대출 목표치는 낮게 잡아 인플레이션을 억제할 것이라는 게 시장의 중론이다.
인플레이션 목표치 상향 조정
11월 인플레이션 예상치는 4.7% 수준이다. 중국 정부는 이 수준에서 더 높아지지 않게 2011년 인플레이션 목표치를 4%대로 잡았다. 2010년 3%보다는 높아졌다. 신규대출은 올해 7.5조 위안보다 감소한 6~7조 위안으로 결정할 전망이다. 이 같은 중국의 긴축정책과 관련해 시장은 우려하고 있다. 미국을 대체할 글로벌 소비시장인 중국이 경제성장을 억제하면 선진국의 경제회복과 글로벌 경제성장에 걸림돌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괜한 걱정은 아니다. 하지만 중국 경제 상황의 변화를 고려하면 중국 정부가 선택한 긴축정책을 크게 우려할 필요는 없다고 판단된다. 그 이유를 살펴보자. 우선 중국의 GDP(국내총생산) 성장률은 지난 3분기 10.6%(연 성장률), 9.6%(분기 성장률)를 기록했다. 연초 대비 성장률은 둔화됐지만 10%대의 안정적 성장 구간에 재진입했다. 중국은 전 세계에서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았고, 자국 소비시장의 탄력적 성장만으로 10%라는 성장률을 확보할 수 있는 거대시장이 됐다.
하지만 경제가 빠르게 회복하는 만큼 물가상승 압박이 커졌다. 10월 발표된 CPI(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4.4%로 2년 만에 4%대에 진입했다. 중국 정부가 계획했던 올해 목표치인 3%대를 훌쩍 넘었고 국내외 23개 연구기관 조사에 따르면 11월 CPI 상승률은 이보다 높은 4.75%(국내외 23개 연구기관 조사)를 기록할 전망이다. 따라서 현 추세라면 2011년 중국의 CPI 상승률은 4.7~4.8%까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그만큼 물가상승 압박이 커진 것이다.
시중에 풀린 유동성 증가율은 10월 말 19.3%로 9월 말의 19%보다 상승했다. 중국 정부가 지급준비율 인상 등으로 유동성을 흡수하려 했지만 유동성은 오히려 증가했다. 중국 인민은행의 대출금리는 10월 5.31%에서 11월 5.56%까지 상승했지만 신규대출 수요는 여전하다.
중국 정부의 억제책에도 11월 PMI(구매관리자지수)는 55.2로 4개월 연속 상승세를 타고 있다. 결과적으로 현재 중국 경제는 탄탄하게 성장가도를 달리고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려는 중국 정부의 노력은 당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중국 정부의 긴축정책이 강력하다고 단정짓기도 어렵다. 올해 중국 정부는 두 차례 금리인상을 결정할 때 대출금리보다 예금금리 인상 폭을 더 크게 했다. 다시 말해 은행에 자금을 예치하는 고객이 받는 이자수익이 은행으로부터 돈을 빌리는 사람이 내는 대출 이자보다 많다. 개인고객이 이자수익으로 대출이자를 충당할 수 있는 구조다. 결국 중국이 긴축정책을 시행하더라도 중국 가계의 소득과 소비 수준은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중국 시장의 성장세가 둔화되는 것을 우려할 단계는 아니라는 얘기다.
부동산 시장은 예외다. 중국 부동산의 거품이 꺼지면 미국 다음으로 중국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중국 정부는 부동산시장의 안정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일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안정화 노력으로 중국 부동산시장의 거래가 늘어나고 가격이 반등한다면 중국 경제와 가계소득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주식시장을 보면 최근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연말 중국 정부의 긴축 우려로 11월 11일 3186.72를 고점으로 12월 9일 2830.89까지 11.4% 하락했다. 하지만 이것은 단기적 변동일 뿐이다. 2006년 중국은 인플레이션을 우려해 인민은행의 대출금리를 5.58%에서 7.47%까지 22개월 동안 189bp(1.89%) 인상했다. 지금과 대출금리가 비슷한 수준에서 2%포인트 가깝게 금리를 인상해 적극적으로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긴축정책을 단행한 것이다.
금리가 오르면 투자심리가 위축되게 마련이다. 하지만 주식시장에서 정반대 상황이 벌어졌다. 당시 상하이종합지수는 금리인상 시점인 2006년 3월 1306을 바닥으로 2007년 11월 5914까지 272.6% 급등했고 주식시장은 강세장에 진입했다.
현재 상황도 비슷하다. 연말 중국 정부의 금리인상 결정은 경제가 그만큼 좋다는 점을 방증한다. 경기선행지수의 바닥권도 확인할 수 있어 2011년 중국 증시는 어느 때보다 좋은 상황을 연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의 긴축정책이 한국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크지 않다. 우선 중국 경제가 안정적 성장궤도에 진입했고 제조업 경기활성화와 소비 증가로 한국산 제품의 수요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지난 10월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 이후 중국은 위안화 절상을 용인하는 분위기이므로 위안화 절상이 단행되면 한국산 제품의 중국 판매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2011년 중국 증시 전망 밝아
중국이 글로벌 소비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날로 커지는 것은 호재이면서 악재다. 그만큼 성장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팔 수 있는 기회가 늘어 좋지만, 중국 경제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점은 좋지 않다. 그렇다 해도 한국산 제품이 일본산 제품을 대체하고, 질적으로 우수하면서 비싼 한국산 제품을 중국 시장에 더 많이 팔 수 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한국 수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70%에 달한다. 중국의 경제성장은 한국에 긍정적이고, 연말 중국의 긴축정책 단행에 대한 부담과 우려는 이미 시장에 반영됐다. 일반적으로 길게 보면 기준금리 인상이 본격화되는 때부터 주식시장은 본격적 반등 구간에 진입한다. 2007년 이후 중국시장의 붕괴와 함께 힘을 잃어버린 중국 관련주가 이제 다시 기지개를 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결과적으로 연말 중국의 긴축정책 단행은 한국·중국 주식시장이 장기적으로 상승 국면에 진입하는 신호로 삼는 것이 바람직하다. 업종별로는 수출주인 IT(정보기술)와 화학, 기계 등 소재·산업재에 관심을 가질 만하다. 중국 내륙지역의 가계소득이 늘고 있고 ‘이구환신(以舊換新·옛 제품을 새 제품으로 교환할 때 보조금 지급) 정책으로 전자제품 교체 수요가 많기 때문이다. 개발사업에 대한 관심 역시 이들 업종의 주가 상승에 한몫할 전망이다.
'일반경제기사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빠, 8800만원 벌면 부자예요?'소득세 과표구간 논란 (0) | 2010.12.24 |
---|---|
감세 논쟁 왜? 감세 논란에 ‘포퓰리즘’ 판친다세계는 감세 바람, (0) | 2010.12.24 |
노련한 자, 순진한 자, 그리고 얼간망둥이[Economy Inside] (0) | 2010.10.17 |
'환율전쟁은 미봉책 … 위기 심화'[Market View] (0) | 2010.10.17 |
“구조조정 늦추면 일본식 장기불황 위험”인터뷰 ‘Mr. 워크아웃’이성규 (0) | 2010.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