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일칼럼

‘버려지는 동물’ 대책 시급하다

도일 남건욱 2006. 10. 23. 14:10
‘버려지는 동물’ 대책 시급하다
‘전염병 매개’ 우려 심각 ‘애완동물 등록제’ 시행을

▲ 상래홍/서울시 수의사회장
작년 서울에서만 버려진 개가 1만5000마리에 이르고, 전국에서 포획된 ‘도둑 고양이’가 1만 마리가 넘는다고 한다. 특히 고양이는 천적이 없는 데다, 1년에 20마리 가까이 출산할 수 있을 정도로 번식력이 강해 뚜렷한 대책을 마련하지 않는 한 그 수가 급격히 늘어날 수밖에 없다.

심각한 문제는 이런 동물들이 사람과 동물 사이에 전염될 수 있는 ‘인수(人獸) 공통 전염병’ 감염의 매개체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광견병의 경우, 매년 강원도와 경기 북부에서 발생하고 있고, 최근에는 인명 피해도 발생했다. 기생충이나 피부병 역시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에게는 간접 접촉만으로도 전염될 수 있다. 어린이 놀이터를 활보하는 버려진 개나 도둑 고양이들을 보면 사실 아찔한 생각이 든다.

정부는 국민이 최소한의 위생과 방역체계가 갖추어진 거리를 안심하고 걷게 하고, 버려진 동물도 최소한의 보호는 받도록 해주어야 한다. 물론 동물이 버려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최상책일 것이다.

동물들은 왜 버려지는 것일까? 우선은 주인에게 버림받은 경우다. 애초부터 기르기 어려운 환경이었거나, 심하게 짖거나, 습관적으로 물거나, 배변을 못 가리거나, 질병이 생겨 주인이 포기한 경우다. 개·고양이가 번식기에 스스로 집을 나왔다가 돌아가지 못할 때도 있다.

이런 유기(遺棄)동물은 동물병원이나 보호시설로 넘겨, 한동안 보호하면서 주인을 찾아주거나 입양시킨다. 하지만 이렇게 운 좋은 케이스는 5~10%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법에 따라 30일이 지나면 안락사(安樂死)시킨다. 이런 과정을 지켜보는 우리들은 안타까움과 심한 좌절감을 느낀다.

일부 자치단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중성화(中性化·생식기 제거) 수술 후 방사’가 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주인 없는 개·고양이가 더 이상 번식할 수 없도록 조치한 후 놓아 주면 증식을 막고, 번식기 특유의 울음소리에도 시달리지 않는다.

서울시 수의사회도 올바른 동물 키우기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몇 가지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그 하나가 ‘입양 상담’이다. 애완동물을 기르기 전에 어떤 동물이 적합한지, 가족 구성원이 역할을 분담해 가르치거나 산책시키기는 가능한지 등을 상담한 다음에 입양시키는 것이다. ‘사회화 프로그램’도 있다. 공원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배변을 가리지 못하거나 심하게 짖는 등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행동을 하지 않도록 가르친다. ‘붉은 삼각건 착용 운동’은 예방 접종과 구충 관리, 가출의 주 원인인 발정을 막는 중성화 수술 등의 조치를 취하는 것이다. 이런 동물에게 안전하다는 의미로 붉은 삼각 수건을 착용시킨다. 하지만 비용, 인력, 시간, 홍보 등 모든 면에서 한계가 있는 게 사실이다.

보다 확실한 해결책은 동물보호단체 및 대한수의사회가 정부와 함께 추진해온 ‘애완동물 등록제’를 빨리 시행하는 것이라고 본다. 키우는 사람이 관청에 애완동물의 사육·사망을 통보하고, 동물 몸속에 예방접종 사항과 주인 연락처 등을 담은 칩을 넣어 관리하는 제도다. 물론 산 동물의 몸에 인공물을 넣는 데 대한 반대 목소리도 있다. 서로가 관심을 갖고 나선다면 부작용을 최소화한 적절한 방안이 나올 것이라 믿는다.

상래홍·서울시 수의사회장
입력 : 2006.10.22 22:34 23'